앵커: 북한 당국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새땅찾기운동’과 관련한 갈등이 끊이질 않고 있다고 복수의 양강도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양강도 농업부문의 한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지난달 26일 “새땅찾기운동이 계속되면서 새 땅의 소유권을 둘러싼 다툼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얼마 전에는 원료 기지 땅 문제 해결을 위해 도당책임비서가 직접 김형직군을 찾기도 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새로 건설된 지방공업공장들에 원료를 충분히 대주려면 한 개 농장과 맞먹는 면적의 원료 기지가 있어야 한다”며 “중앙에서는 원료 기지의 절반은 해당 시, 군 농업경영위원회가 해결하고, 나머지 절반은 새 땅 찾기로 해결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형직군의 경우 지방공업공장에 필요한 원료 기지를 260정보로 산출했다”며 “그중 절반인 130정보는 군 농업경영위원회가 주변 포평과 무창, 두지리 농장에서 해결하고, 나머지 130정보는 군에서 자체로 새 땅을 찾아 해결해야 한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하지만 김형직군엔 원료 기지 농경지로 쓸만한 새 땅이 없었다”며 “방법을 모색하던 김형직군 당위원회와 군 국토관리부는 개인과 기업소들이 가지고 있던 소토지(뙈기밭)를 회수해 원료 기지 농경지로 선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러한 토지 회수 조치에 항의해 수많은 주민들과 기업소들이 도당위원회와 도 국토환경보호관리국에 신소 문서를 보냈다”며 “김형직군 ‘소년단야영소’와 ‘토끼목장’은 도당에 신소해 빼앗겼던 토지를 돌려받기도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김형직군 상설 고사총 중대, 2호관리소를 비롯해 아직 토지를 찾지 못한 기업소와 개인들은 ‘공장 부업 밭과 개인 뙈기 밭을 새 땅으로 회수하는 행위는 부당하다’는 취지로 도당과 도 국토환경보호관리국에 계속 신소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관련 기사
이와 관련 양강도의 한 농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도 지난달 28일 “새땅찾기운동으로 농장들은 어느 하루도 싸움이 그칠 날 없다”며 “농민들은 ‘새로 식수를 한 땅은 새 땅이 될 수 없다’는 내각 국토환경보호성의 지시도 무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2023년 봄 새땅찾기운동을 독려할 목적으로 내각 농업위원회가 새로운 조치를 내놓았다”며 “‘농장 작업반, 분조에서 새로 찾은 땅은 앞으로 5년동안 수확한 곡물을 국가에 바치지 않고 농민들 자체로 소비한다’는 조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내각 농업위원회는 ‘경사각 15도 미만으로 농사를 짓지 않는 30평 이상의 땅’을 새 땅으로 규정했다”며 “이후 농장의 분조들을 중심으로 새 땅 찾기가 활발해 졌는데 남의 땅을 침범한다는 다툼이 여전히 끊이질 않고 있다”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새땅찾기운동은 김일성 시대인 1980년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운동”이라며 “땅이 매일 새로 생겨나는 것도 아닌데 1980년부터 새 땅 찾기를 했으니 지금 새로 찾을 땅이 어디 있겠냐”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앞서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4월 초 기사에서 “새 땅 예비를 찾아내기 위한 돌격대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개성시 안의 농업근로자들과 농근맹원들은 올해 들어와 많은 논과 밭을 새로 조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며 새땅찾기운동을 적극 장려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문성휘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