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올해 초 지방 당 조직들에 ‘새 땅 찾기 상무’를 조직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새 땅을 찾아 각종 건설사업으로 훼손되거나 없어진 농경지를 다시 확보하려 한다는 지적입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이 2월 중순, 지방의 시, 군 당위원회들에 ‘새 땅 찾기 상무’를 조직한 사실이 복수의 양강도 소식통들에 의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새 땅을 찾아 남새 온실, 농촌살림집 건설 등으로 없어진 농경지를 대체하려는 목적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양강도의 한 간부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18일 “국가적인 사업으로 유실된 농경지를 회복하기 위해 지난 2월 중순, 시, 군 당위원회들에 ‘새 땅 찾기 상무’가 조직되었다”며 “상무는 시, 군당 책임비서, 근로단체부장과 인민위원회, 농촌경리위원회 부위원장들, 국토관리부 부부장과 각 농장 초급당비서들로 구성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 새 땅 찾기를 위해 상무까지 조직한 것은 그만큼 농경지 유실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라며 “국가 알곡 생산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새 땅을 찾아 유실된 농경지를 빨리 보충해야 한다는 것이 중앙의 의도”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2019년, 함경북도에 대규모 온실 농장을 준공한 이후 함경남도와 평안남도에 연이어 온실농장이 들어서고, 지금도 평안북도에 온실 농장을 건설하고 있다”며 “여기다 2020년부터 농촌살림집 건설이 대대적으로 진행되고, 지난해부터 지방공업공장까지 건설하면서 지방의 많은 농경지가 훼손되거나 유실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올해 전국의 모든 시, 군마다 지방공업공장 원료 기지를 조성하고 있는데 원료 기지 하나를 완공하려면 300정보(약 300ha)의 토지가 필요하다”며 “전국의 모든 원료 기지를 완공하려면 6만 정보의 토지가 있어야 한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렇게 유실되거나 훼손된 토지를 보충하고 지방공업공장의 원료기지까지 완공하려면 농업기관이나 국토관리 기관의 힘으로는 부족했다”며 “새 땅 찾기를 보다 강력하고 통일적으로 내밀기 위해 중앙에서 ‘새 땅 찾기 상무’를 조직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관련 기사
이와 관련 양강도 농업부문의 한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도 20일 “허물어진 집터를 정리하고, 물웅덩이를 메우는 등 지난 2월에 조직된 ‘새 땅 찾기 상무’가 그동안 많은 일을 했다”며 “지금도 직맹돌격대와 여맹돌격대를 이끌고 외래종 식물로 폐기된 밭들을 되살리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폐기된 밭을 되살리고 나면 더 이상 찾아 낼 땅이 없다는 것이 ‘새 땅 찾기 상무’가 안고 있는 고민”이라며 “이런 문제로 하여 새 땅 찾기를 둘러싼 지방 간부들의 불만도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농작물 경작지가 줄어들면 그만큼 알곡생산 계획량도 줄어야 하는데 시, 군의 알곡생산계획 량은 단 1그램도 줄지 않고 있다”며 “유실된 농경지만큼 새 땅을 찾아 알곡 생산량을 유지하라는 건데 새 땅을 찾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방의 모든 간부들 알곡생산 계획 책임져야
이어 소식통은 “국가 알곡 생산계획을 완수하지 못할 경우 단순히 농업부문 간부들에게만 책임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며 “사상사업을 책임진 지방 당 기관과 영농자재 보장, 지원 노력(노동력) 파견을 책임진 지방 행정기관에도 모두 책임을 묻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문성휘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