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권한대행 “북 도발책동에 대비태세 유지”

앵커: 이주호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했습니다. 이 권한대행은 북한이 도발을 시도할 수 없는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주문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한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이주호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북한 도발에 대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주호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 외교, 안보, 국방, 경제안보 등 어느 분야에서든 한 치의 빈틈도 없어야 할 것입니다. 특히 북한이 어떠한 도발 책동도 획책할 수 없도록 빈틈 없는 대비 자세를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이날 0시부터 대행직을 이어받은 이 권한대행은 “무거운 책임감과 함께 국가안전보장회의 의장 대행의 엄중한 임무를 맡게 됐다”면서 “정부로서는 무엇보다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생명, 안전을 지켜내는 일이 기본적인 사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각 부처와 기관은 물론 재외공관에서도 치밀한 위기 상황 관리뿐 아니라 적극적인 업무 수행에 매진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외교·안보 부처 간 긴밀한 소통과 협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면서 “모든 부처와 기관이 국가 안위의 최후 보루라는 마음을 가지면서도 무엇보다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하나가 돼야 한다는 정신 아래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행은 이날 0시를 기해 모든 부처와 공직자에게 “국정 공백이나 혼란 없이 국가 운영을 안정적으로 이어 나가기 위해 정부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긴급지시를 시달하기도 했습니다.

안보 분야와 관련해선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군의 경계와 대비를 철저히 유지하고, 모든 도발 가능성에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 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달라”고 지시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 의장에게는 “작전 지휘 체계를 확고히 하고, 유사시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모든 군부대의 대비 태세를 점검·강화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또 외교부 장관에겐 “주요 우방과 긴밀히 협력해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유지하고, 외교 현안 관리에 빈틈이 없도록 철저히 대응하라”고 당부했습니다.


관련기사

한덕수 총리 전격 사퇴…이주호 대행 체제로

한덕수 “북, 핵·미사일로 평화 위협...단호히 대응”


미국 국무부는 한미동맹 안정을 위해 이 권한대행과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무부 대변인은 “동맹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주호 권한대행, 그리고 한국과 협력하는데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이 권한대행은 전날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잇따라 사퇴하면서 대행직을 맡았습니다.

다음 달 3일 치러질 한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권한대행도 사퇴 전인 지난 1일 주재한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북한의 도발, 특히 사이버 위협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주문한 바 있습니다.

[한덕수 전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지난 1일)] 한국을 둘러싼 국내외 안보상황은 매우 엄중합니다. 북한은 러시아 파병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하면서 러시아와의 밀착 관계를 가속화하고, 우리를 겨냥한 무기 체계를 개량하면서 새로운 양상의 도발을 획책하고 있습니다. 또 한국 정부와 기업, 국민들은 사이버 공격의 위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습니다.

한국 육군, 북 무인기 대응 실사격 훈련 실시

이런 가운데 한국 육군은 지난달 30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북한 무인기 침투에 대응한 대공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육군은 지난달 30일부터 2일까지 강원 고성 해안 일대에서 대공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21보병사단 천호가 표적기를 향해 30mm 대공포를 발사하는 모습.
육군, 대공 실사격 훈련 실시 한국 육군은 지난달 30일부터 2일까지 강원 고성 해안 일대에서 대공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21보병사단 천호가 표적기를 향해 30mm 대공포를 발사하는 모습. (한국 육군 제공)

적의 공중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강원도 고성군 마차진 해안 일대에서 2일까지 진행된 이번 훈련에는 육군 21사단과 2기갑여단, 20기갑여단이 참여했습니다.

훈련에는 30mm 대공포로 무장한 차륜형 방공무기 ‘천호’, 천호에 지대공유도무기인 ‘신궁’을 결합한 ‘비호복합’ 등 8문의 방공자산과 장병 1백30여 명이 투입돼 모두 4천6백여 발의 대공사격이 실시됐습니다.

적 소형무인기처럼 저고도로 침투한 표적기를 레이더로 식별해 전자광학 추적기로 이를 자동 조준하고, 분당 최대 6백 발을 발사하는 대공포로 격추하는 방식으로 훈련은 진행됐습니다.

한국 해군도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1일까지 서해와 남해에서 압도적인 군사대비태세 확립과 필승의 전투의지 고양을 위한 강도 높은 함대종합전투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서해와 수도권을 방어하는 2함대는 해상을 통해 몰래 침투하는 북한의 특수전 전력을 현장에서 조기에 격멸하는 해상대특수전부대작전(MCSOF) 훈련과 대잠전 훈련, 해상기동군수훈련 등을 실시했습니다.

이번 훈련에는 수상함 20여 척, 항공기 10여 대 등이 참가했고, 대함·대잠·대공전 훈련, 국지도발 및 무인기 대응훈련, 해양차단훈련 등 유형별 해상 도발 대응훈련을 진행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홍승욱입니다.

에디터 양성원